[작가론] 빙허, 현진권 :: 소소하고 지극히 평범한 공간

빙허, 현진권


 

 

  후덕한 인상을 가지신 내가 좋아하는 작가 현진권이다. 그의 글은 하나같이 골수를 쪼개는 칼이 있어, 현실의 단면을 보여준다. 현진권의 '운수 좋은 날'은 각종 패러디를 통해 우리에 익숙하며, 전문을 읽은 사람은 드물지라도, 설렁탕을 사 오는 마지막 부분을 기억하는 이는 많을 것이다.

  기본적인 생애를 알아보자, 작가의 작품은 작가의 생애가 많이 반영되어 있다.

  1900년 8월 9일 대구 출생으로 대대로 역관 출신이 많은 집안이었다. 또한, 그의 부친 현경운은 신진 관료로 자식들의 신식 학교 출입과 외국 유학을 허락한 개화 인사다. 그의 모친인 이정효는 일찍 세상을 뜨게 되었고, 15세의 나이에 일찍 결혼하게 된다. 이런 작가의 생애가 반영되어, 어머니의 결핍과 결혼관에 대한 작가의 생각이 일부 작품에 반영 되어 있다.

  현진건은 동아일보 사회부장 자리까지 오릅니다. 당시 일장기 말소사건으로 1년간 투옥 되게 됩니다.​

  그의 작품 수는 그리 많지 않다. '희생화', '빈처', '술 권하는 사회', '타락자', '할머니의 죽음', '운수 좋은 날', '불', 'B사감과 러브레터', '사립정신병원장', '고향', '적도', '무영탑' (흑치상지는 미완성 소설입니다.)

  ​현진건의 소설은 크게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물론 반론이 있을 수 있는 부분이다. 어떻게 나누느냐에 따라 그 양상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백조>동인 활동 당시 대표적으로 '빈처', '술 권하는 사회',  '타락자'를 들 수 있으며, 식민지 현실을 다루고 있는 '고향', '운수 좋은 날', '신문지와 철장' 그리고 역사소설인 '무영탑', '흑치상지', '선화공주'를 서술한 시기 즉, <백조>활동 당시, 식민지 현실 반영 소설 창작 당시, 역사소설 집필 당시로 나눌 수 있다.

  초기의 ​작품은 가부장적 사회에 관한 폭로와 개화기 지식인의 무력감을 형상화한 작품이 많다. 더불어 현진건의 심리가 투영된 자전적 소설이라는 의견도 존재한다.

예술은 예술적 가치만 있으면 물론 훌륭한 예술이다. 그러나 내용적 가치가 문예작품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고 나는 주장 않을 수 없다. 예술적 가치, 예술적 감명만을 짓는 걸로서 또는 얻는 걸로써 만족하는 이도 있겠지만 그것만으로 만족치 않는 이도 많은 줄 안다. 물론 예술적 가치, 예술적 감명만이 인생에 필요치 않다는 건 아니다. 인생을 향상시키지 않는다는 건 아니다. 그러나 그것만이라면 너무나 미약하다, 희박하다.

예술이 예술되는 소이연은 거기 예술적 표현의 유무에 따라서 결정될 것이로되 그 결정된 예술이 인생에 대하여 중대한 가치가 있느냐 없느냐는 오로지 그 작품의 내용적 가치, 생활적 가치를 따라서 결정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브센의 근대극, 톨스토이의 작품이 일대의 인심을 진동시킨 이유의 하나는 그 속에 있는 사상의 힘이다. 그 예술만의 힘이 아니다. 예술에만 숨어서 인생을 알라고 하는 작가는 상아탑 속에 숨어서 은피리를 불고 있는 세음이다.

문예는 경국의 대사라고 하지마는 내 생각 같아서는 생활의 제일이요, 예술이 제이다. (현진건 이러쿵 저러쿵)

  ​  현진건은 또한 무조건적인 예술지상주의를 경계하며 내용적 측면, 생활적 측면을 강조하였다. 그의 작품 속 할머니, 인력거꾼, 김첨지, 순이, B사감, 유랑 노동자등의 처절하면서 고단한 삶의 단면을 통해 당대 조선의 얼굴을 그리려 했던 것이다. 이러한 면에서 현실을 보며, 현실을 그릴 줄 아는, 현실에 관심을 두고 예술을 접목 시킨 사회파 작가라 볼 수 있다. 민중의 현실을 바라봤다면, 식민지 민중의 가난과 모순, 무기력한 지식인의 행각과 편협한 인심, 주변부적 존재들의 비참한 삶을 극적으로 재현한 리얼리스트라 할 수 있다.

문은 실상 인즉 기입니다. 기 없는 글은 아무리 진주 같다해도 곧 사회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나는 신인께 모파상이나 체홉을 본뜨기 전에 뜌우마나 유우고오를 배우시도록 원합니다. 이것은 동시에 내 자신에 대한 뒤늦은 소원이기도 합니다. (현진건 문장 인터뷰 )

    철학 없는 글, 사상과 생각 없이 오로지 재미를 위한 글은 실상 빈 껍데기와 같을 것입니다. 소비성 세상, 인스턴트 식품이 넘쳐나고, 상품이 되면 뭐든지 공장처럼 찍어내는 세상입니다. 텅 빈 글이 나온다는 것은 지금 사회가 텅 비어있다는 방증입니다.

  현진건은 역사소설도 집필했다. 역사소설을 두 가지 방향으로 설명했는데, 첫째 우연히 심금을 울릴 사실을 발견하고 작품을 만들어내는 사례 둘째 작자의 주제는 이미 결정되었으나 현대에 취재하기가 거북한 점이 있어 그 주제에 적당한 사실을 찾아내어 읽어놓은 사례이다. 현진건은 이 중 두 번째 사례를 ​높게 평가했다.

  많은 걸 느낍니다. 글은 곧 사회라는 그 말이 작가의 책무를 말해주는 것 같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