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 :: 소소하고 지극히 평범한 공간

고은, 머슴 대길이


머슴 대길이

토막 상식 문학의 '목소리'

다른 작품과의 연관성


 

새터 관전이네 머슴 대길이는

상머슴으로

누룩도야지 한 마리 번쩍들어

도야지우리에 넘겼지요

그야말로 도야지 멱따는 소리까지도 후딱 넘겼지요

밥때 늦어도 투덜댈 줄 통 모르고

이른 아침 동네길 이슬도 털고 잘도 치워 훤히 가르마 났지요

그러나 낮보다 어둠에 빛나는 먹눈이었지요

머슴방 등잔불 아래

나는 대길이 아저씨한테 가갸거겨 배웠지요

그리하여 장화홍련전을 주룩주룩 비 오듯 읽었지요

어린아이 세상에 눈떴지요

일제 36년 지나간 뒤 가갸거겨 아는 놈은 나밖에 없었지요

 

대길이 아저씨한테는

주인도 동네 어른들도 함부로 대하지 못하였지요

살구꽃 핀 마을 뒷산 올라가서

홑적삼 처녀 따위에는 눈요기도 안 하고

지겟작대기 뉘어 놓고 먼 데 바다를 바라보았지요

나도 따라 바라보았지요

우르르르 달려가는 바다 울음소리 들리는 듯하였지요

찬 겨울 눈더미 가운데서도

덜렁 겨드랑이에 바람 잘도 드나들었지요

그가 말하였지요

사람이 너무 호강하면 저밖에 모른단다

남하고 사는 세상이란다

 

대길이 아저씨

그는 나에게 불빛이었지요

자다 깨어도 그대로 켜져서 밤새우는 긴 불빛이었지요

 

문학 작품을 마주할 때 우리가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하는 것은 바로 '시의 제목'입니다.

 

'머슴 대길이' 아! 시의 제목만 보고도 시적 대상이 '머슴 대길이'라는 특정 인물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화자는 이 대상에 대해서 과연 어떤 태도를 가지고 있을지 파악하고, 그러한 파악이 곧 시의 주제와 연결이 될 것입니다.

 

1연을 통해서 우리는 '머슴 대길이'라는 대상이 굉장히 일도 잘하며, 인품도 훌륭한 사람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시적 화자가 직접적으로 '나'라고 나타나고 있습니다. '나'는 '머슴 대길이'에게 '가갸거겨'를 배우기도 합니다. 일제강점기 때에 조선어 말살 정책에 따라 '국어'라는 이름으로 일본어를 배우게 됐었죠.

 

그런데 '나'는 '머슴 대길이'를 통해 한글을 배우게 됩니다. 이러한 '머슴 대길이'의 가르침으로 인해 '나'는 세상에 눈을 뜨게 되는 결과와 장화홍련전을 읽을 수 있는 능력과 광복이 된 후 혼자 한글을 사용할 수 있다는 여러가지 이점들을 얻게 됩니다.

 

그리고 본 시의 경우 '나'의 회상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문득 기형도의 엄마 생각이 떠오릅니다. 엄마 생각의 경우에도 유년시절의 '나'의 모습을 회상하면서 시상이 전개되죠.)

 

'머슴 대길이'의 경우 '홑적삼 처녀'와 같이 당장 눈 앞에 보이는 것을 추구하기 보다는 '먼 데 바다'라는 더 큰 세계를 동경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돌연 '머슴 대길이'의 목소리가 끼어 듭니다.

 

'사람이 너무 호강하면 저밖에 모른단다. 남하고 사는 세상이란다.'

 

'머슴 대길이'가 한 평생을 살면서 가지고 있었던 지론이자 삶의 철학입니다.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중요성에 대해서 말하고 있는 것이죠.

 

바람이 드나들 정도로 남루한 복색을 하고 있음에도 대길이의 인품과 고결한 정신만큼은 굉장히 부유하다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나'에게 있어 대길이 아저씨는 '밤새우는 긴 불빛'과 같이 환하게 빛나는 고결한 존재가 되는 것입니다.

 

[토막 상식]

 

시에는 가끔씩 다른 이의 목소리가 섞여 들어갈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그 목소리가 누구의 목소리인지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금 심화된 어쩌면 학부 쯤에서 다루어야 하는 개념인지 모르지만 이 '목소리'라는 것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렇게 한 작품에 많은 목소리가 얽혀있는 것을 '다성성'이라고 하며, 문학 작품들은 대체로 다성성을 추구합니다.

 

표면적인 단어 그대로 풀이하자면 다양한 목소리쯤 해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리 간단한 개념은 아닙니다.

 

'다성성'은 바흐친이란 학자에 의해서 처음 생긴 개념입니다. 문학 내에서 인물들이란, 작가에 의해서 배치되는 수동적 존재들이 아닌 저마다의 목소리를 지니고 있기에 이들은 저마다의 목소리를 문학 작품을 통해서 내려고 합니다.

 

위 시에서는 시인의 대리인인 '나'가 있지만, '나'는 자신만의 목소리를 내고 있으며, 더불어 대상인 '머슴 대길이'도 자신만의 목소리를 내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성성에 의해 바흐친은 '대화주의'에 대해서 얘기하죠. 이러한 인물들이 서로 이야기를 나누는 대화로 문학이 이루어진다고 말합니다.

 

[다른 작품과의 연관성]

 

미천한 신분임에도 인정을 받는 모습을 보니 '머슴 대길이'와 '광문자전'을 한 번 비교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기형도, 엄마 생각과 고은, 머슴 대길이의 핵심적인 시상 전개방식의 공통점은?

 

고은, 머슴 대길이에서 '대길이'와 이태준, 복덕방에서의 '안경화'가 삶을 대하는 태도를 비교하시오.

 

 


 

 

 

 

 

 

강은교, 우리가 물이 되어

 


 

목차.

 

강은교, 우리가 물이 되어

상징의 의미

다른 작품과의 연관성


 

 

 

1. 강은교, 우리가 물이 되어

 

우리가 물이 되어 만난다면

가문 어느 집에선들 좋아하지 않으랴.

우리가 키 큰 나무와 함께 서서

우르르 우르르 비 오는 소리로 흐른다면.

 

흐르고 흘러서 저물녁엔

저 혼자 깊어지는 강물에 누워

죽은 나무뿌리를 적시기도 한다면

아아. 아직 처녀인

부끄러운 바다에 닿는다면.

 

그러나 지금 우리는

불로 만나려 한다.

벌써 숯이 된 뼈 하나가

세상에 불타는 것들을 쓰다듬고 있나니

 

만 리 밖에서 기다리는 그대여

저 불 지난 뒤에

흐르는 물로 만나자.

푸시시 푸시시 불 꺼지는 소리로 말하면서

올 때는 인적 그친

넓고 깨끗한 하늘로 오라

 

문학 작품을 해석할 때 있어, 작가와 창작 당시의 배경적 지식, 사회 문화적 맥락에 지식이 없어도 시는 시 그자체로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는 이것을 '내재적 관점' 혹은 '절대론적 관점'이라고 한다.

 

적절한 내적 근거를 가지고서 시를 해석해야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요소들은

 

시어들의 관계이다. 단순히 하나의 시어를 독립적으로 놓은 상태에서 해당 시어의 긍정성과 부정성 상징성 등을 판단하는 것은 지나친 문제가 된다.

이에 시어들관의 관계 즉, 수식 관계나 서술어가 어떻게 끝나는지 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시어들의 관계를 바탕으로 대상에 대한 화자의 인식과 태도, 시적 상황 나아가 주제를 형상화할 수 있게 된다.

 

위 시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바로 '불'과 '물'의 대립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둘을 이원대립적으로 본다면, 한쪽이 상보적 반의관계에 놓일 것만 같다. 즉, 한쪽이 긍정이라면 다른 한쪽은 부정이 되어야 하는 그런 느낌이다.

 

그렇다 위 시는 불과 물의 이미지가 대립이 되고 있다. 그리고 '가문 어느 집', '죽은 나무 뿌리'를 살릴 수 있는 생명력의 원천인 '물'은 화자에게 있어 상당히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리고 물이 변화하는 양상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물->비->강->바다 (점층적이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이상적 공간이라 할 수 있는 '하늘'까지 등장하게 된다.

 

그런데 우리가 주목할 것은 '불'이라는 것이 무엇인가를 소멸하는 이미지가 있지만 '저 불 지닌 뒤에 / 흐르는 물로 만나자.'라는 표현을 통해 '물'의 힘으로 '불'을 당장에 꺼뜨리는 것이 아니라, '불'이 지나가기를 바란다.

 

문득 떠오른 시가 있다. 서정주, '견우의 노래'라는 시이다. '견우의 노래'라는 시에서는 '이별'이라는 것을 더욱 깊고 애틋한 그리고 성숙한 '사랑'을 위해서 필요한 존재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이다.

 

강은교 시인의 '우리가 물이 되어'도 마찬가지다.

'불'이라는 것이 전제가 되고 이를 극복했을 때 좀 더 성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또 하나의 특징은 '가정법'이 사용 됐다는 측면이다. 현재 우리의 상황은 '물'이 되어 만날 수 없기에 '물'이 되어 만나기를 바라는 소망이 나타나는 것이다.

 

다른 외재적 관점을 끌고 오자면, 해당 시는 남과 북의 대립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제 시인이 인터뷰를 통해 위 시의 모티브가 남한과 북한의 대립 관계라는 것을 밝혔다. 결과적으로 '물'의 세상 평화와 조화가 가득한 세상을 꿈꾸며, 통일을 염원하는 시가 되는 것이다.

 

이에 주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생명력이 충만한 새로운 세계의 추구', '평화와 조화가 있는 통일 세계의 추구'

 

[토막상식]

 

 

알아두면 좋은 개념이 바로 '상징'이다. 그리고 우리가 '물'의 이미지를 생명력, 근원적인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도 일종의 '상징'이다. 그리고 상징은 여러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원형상징, 관습적상징, 개인적상징

 

위 상징은 '범위'에 따라 구분이 된다. 원형상징은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 인간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상징들을 뜻한다.

관습적 상징은 개별 국가의 사회 문화적 맥락이 반영된 상징이며, 개인적상징은 말 그대로 창작자가 자신만의 의미로 재창조 된 상징이라 할 수 있다.

 

일견, 상징과 비유과 굉장히 유사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엄연히 변별점이 존재한다.

둘의 구분을 위해서는 '원관념'과 '보조관념'이라는 용어를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아이스크림 같은 구름'

 

위 문장에서 원관념은 '구름'이고 보조관념은 '아이스크림'입니다. 즉 나타내고자 하는 원래 대상이 '원관념'에 해당하며, 이러한 '원관념'을 유사성에 따라 다른 이미지로 나타낸 것이 '보조관념'입니다.

 

상징 

비유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대응이 1 : 多 이다.

즉, '물'이라는 상징은 하나의 생명, 근원 등등 굉장히 많은 것들과 대응 됩니다.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대응이 1 : 1 이다.

 

 원관념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원관념이 나타난다. 

 

[다른 작품과의 연관성] 

 

 

공무도하가에서 나오는 '물'의 상징성과 우리가 물이 되어에서 나오는 '물'의 상징성을 비교해 보자.

 

이호철의 큰 산과 강은교의 우리가 물이 되어에서 회복해야 될 것들을 서술해 보자.

조건 1. 회복에 필요한 것들을 작품에서 찾아 쓸 것.

조건 2. 조건 1에서 찾은 것들의 의미를 쓸 것.

조건 3. '우리가 물이 되어'의 경우 시인의 창작 동기를 고려할 것

 

우리가 물이 되어에서 사용된 '물'의 상징과 윤동주 '십자가'에서 사용된 상징의 차이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