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소설] 전우치전, 허균의 홍길동전 :: 소소하고 지극히 평범한 공간

전우치전, 허균의 홍길동전


 

 

 

아무래도 전우치의 평균적인 이미지와 대중성을 올려 놓은 것은 바로 이 전우치라는 영화 때문이 아닐까 싶다. 그리고 전우치를 배우인 강동원이 연기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그 이미지 자체가 긍정적으로 형성될 것이다.

 

이에 대중들이 갖고 있는 전우치의 이미지는 자유로우며, 장난기 많은 그리고 신이한 도술을 부리는 존재쯤으로 여기고 있을 것이다.

 

오늘 살펴 볼 전우치전의 경우도 그 바탕이 되는 것은 '전우치 설화'이다.

 

설화의 원형적 이야기를 근거로 하여 여러 삽화를 삽입하고, 병렬 나열하는 방식의 '삽화식 구성'을 취하고 있다.

 

사실 공부를 하다보면, 삽화식 구성의 개념과 액자식 구성의 개념의 경계가 모호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도 이러한 모호성에 기인해 많은 이들이 헷갈려 하고 있다.

 

그렇다면 먼저, '구성'이라고 하는 것의 개념붙어 짚고 넘어갈 생각이다.

 

구성 다른 말로 바꾸자면 '플롯'이 여기에 해당한다. 플롯이란 과연 무엇일까? 일견 스토리와 그 맥을 같이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E. M. 포스터는 스토리와 플롯의 차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밝혔다.

 

스토리는 시간적 순서대로 배열된 사건의 서술이다.

플롯도 사건의 서술이지만, 인과 관계에 중점을 둔다. '왕이 죽고 왕비가 죽었다.'하는 것은 스토리이지만, '왕이 죽자 왕비도 슬퍼서 죽었다.'하는 것은 플롯이다. 시간적 순서는 그대로 가지고 있지만, 인과 관계가 이에 그림자를 드리운다. 또 '왕비가 죽었다. 아무도 그 까닭을 몰랐다가 왕이 죽은 슬픔 때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한다면, 이것은 신비를 간직한 플롯이며, 고도의 발전이 가능한 형식이다.

플롯은 소설의 논리적이고 지적인 단면이다.

 

플롯은 일종의 설계도 쯤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거대한 하나의 직조물 혹은 건축물인 소설을 건설해 내기 위해, 그 내부 구조부터 외형에 이르기까지 단단하게 설계해 나갈 때 그것들의 짜임새를 플롯이라 하는 것이죠.

 

플롯의 간단한 개념에 대해 살폈으니, '삽화적 구성'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삽화'라는 것은 책을 읽다 보시면, 중간 중간에 끼어 있는 그림이라는 의미입니다. 결과적으로 사건들이 서로 밀접한 관련성 없이 각각 독립적으로 산만하게 연결된 직선적 구성의 한 방식입니다.

 

반면 액자식 구성은 외화와 내화로 구성 돼 있으며, 외화와 내화과 유기적인 연관관계 속에 상당한 관련성을 갖고 있습니다.

고전 소설의 경우는 대체적으로 '환몽구조'를 갖고 있기에 각몽과 입몽의 단계를 바탕으로 액자식 구성이 이루어져 있습니다.

 

내화에서 겪은 핵심적인 사건을 바탕으로 깨달음에 이르는 그 과정을 서술하는 몽자류 혹은 몽유록계 소설들이 즐비하기에, 삽화적 구성과의 차이는 상당히 명확한 것으로 보입니다.

 

'전우치전'의 경우 여러 가지 사건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커다란 '전우치'와 관련한 일대기적 서사라는 보편적인 서사가 관통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작은 삽화들이 배열되어 있습니다.

 

일례로 도적을 소탕하는 삽화(엄준 토벌 삽화), 역모 누명 삽화 등의 삽화들이 배열이 돼 있으며, 이들의 사건들은 모두 '전우치'의 신이한 도술과 능력을 통해 독자적으로 해결이 됩니다.

 

전우치전에서 조력자의 역할 없이 스스로의 힘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해 나간다는 측면도 특징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특정 인물의 조력을 바탕으로 도술을 익히고 나아가, 조력자의 도움을 통해 대업을 이루는 방식이 영웅의 서사적 일대기의 한 양상임에도, 전우치는 모든 일을 스스로 해결해 나간다는 측면이 차이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기이한 능력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한다는 '전기성'의 측면에서 상호텍스트성의 입장을 통해 허균의 홍길동전과 연결될 수도 있지만, 저는 다른 측면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바로 인물의 도덕성 측면입니다.

 

개인의 욕구와 사회적인 규범이 충돌하는 지점은 굉장히 많습니다. 대체로 결연담이나, 혼사장애담과 같은 화소에서 신분적 제약과 개인적 사랑의 욕구가 부딪치며, 좌절하거나 이를 초월하고 극복해 사랑을 이루는 방식이 많죠.

 

그런데 여기서 얘기하고 싶은 것은, 전우치라는 인물이 자신의 도술로써 탐관오리를 벌하고 빈민을 구제하며 도적을 물리치는 등의 영웅적 면모를 보이지만, 자신에게 해를 끼친 사람에게 복수하는 등 개인적 욕망을 추구하는 데에도 도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도덕적으로 완벽한 모습의 영웅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이러한 지점이 바로 홍길동전과 만나는 지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홍길동도 활빈당을 구성해 의로운 일을 해 나가지만, 마지막 부분에 율도국을 정복하는 과장을 보시면 상당히 비윤리적이란 인상이 강합니다.

 

율도국의 경우 왕이 폭정을 일으켜 백성들이 힘든 시절도 아니었으며, 굉장히 조용하고 평화로운 곳임에도 홍길동은 자신의 힘으로 율도국의 왕위에 오른다는 측면이 조금은 석연치 않은 부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즉, 개인적인 욕망과 윤리성이 부딪치는 측면으로 결과적으로 개인적인 욕망을 실현하기 위해 윤리성을 억제하는 부분이라고 볼 수 있지요.

 

이러한 측면에서 보자면 완벽한 윤리성을 갖추지 못한 영웅이란 부분이 전우치전과 홍길동전의 공통점 그리고 상호텍스트성에 입각해 묶일 수 있는 지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