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시] 서정주, 귀촉도와 김소월, 접동새, 한국 문학의 전통적 특질의 계승 :: 소소하고 지극히 평범한 공간

 서정주, 귀촉도와 김소월, 접동새, 한국 문학의 전통적 특질의 계승


 

'문학'이라는 것은 보편성을 지니고 있으며, 동시에 특수성을 지니고 있다. 일견 두 단어가 사실 양립 불가능해 보이는 역설적 단어의 조합인 것처럼 보이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

 

단순한 이항대립의 관계로 이 둘의 관계를 바라보면 문학을 바라보는 편협한 시선이 발생할 수 있기에 주의해아 한다.

 

문학에는 세계 공통적으로 그 안을 관통하는 보편성이란 것이 존재한다. 가령 문학의 소재로 삼는 것들의 보편적 특성, 언어로 형상화 되어 작가가 전달학고자 하는 특정 가치를 담고 있다는 점 등이 보편성으로 취급될 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특수성이라 한다면, 사회 문화적인 맥락을 바탕으로 형성된 고유한 문화가 일궈낸 것들로 한국 문학의 경우는 '은근과 끈기', '자연친화적 사고', '웃음으로 눈물 닦기', '풍자와 해학', '이별의 정한', '한의 정서'등의 있을 것이다.

 

이중 오늘 다룰 두 시 '서정주의 귀촉도'와 '김소월의 접동새'는 '한의 정서'라는 한국문학의 고유한 문학적 특질을 계승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한'이라는 단어는 설명하기 굉장히 난해하고 힘든 단어이다. 단순하니 슬픔이나 좌절이 아닌, 피가 맺힐 듯한 단장의 슬픔과 그런 구구절절한 것들이 가슴에 응어리가 되어 뭉쳐있는 것들이라 할 수 있다.

 

위와 같으 설명하긴 했지만, 한의 전부를 설명한 것은 또 아니다.

 

 

대체적으로 문학적 전통적 계승의 그 계보를 그리자면 현대시 작가로는 김소월과 박제삼을 그릴 수 있을 것이다.

 

이 둘이 대표적으로 한국 문학의 전통적인 소재들을 차용하여 시들을 만들어 냈으며, 문학적 특질을 잘 계승했다 하지만, 이 둘에게만 국한된 일은 아니다.

 

다른 작가들에게서도 고유한 한국 문학의 특질이 도출될 수 있다.

 

 

오늘 살펴보고자하는 시 두 시는 사실상 같은 제목을 같고 있다.

 

귀촉도 = 접동새를 뜻한다.

 

이는 두 시 다 접동새 설화라는 전통적인 설화를 차용하였으며, 그 설화 자체에 이미 한의 정서가 내재 돼 있다.

 

그렇기 때문에 두 시가 한의 정서를 담고 있다는 것은 필수불가결한 것이다.

 

 

서정주, 귀촉도

 

눈물 아롱아롱

피리 불고 가신 님의 밝으신 길은

진달래 꽃비 오는 서역 삼만 리

흰 옷깃 여며 여며 가옵신 님의

다시 오진 못하는 파촉 삼만 리

 

신이나 삼아 줄 걸, 슬픈 사연의

올올이 아로새긴 육날 메투리.

은장도 푸른 날로 이냥 베어서

부질없는 이 머리털 엮어 드릴 걸.

 

초롱에 불빛, 지친 밤하늘

굽이굽이 은핫물 목이 젖은 새,

차마 아니 솟는 가락 눈이 감겨서

제 피에 취한 새가 귀촉도 운다.

그대 하늘 끝 호올로 가신 님아.

 

먼저, '은장도'라는 시어를 바탕으로 화자가 여성임을 알 수 있다.

 

은장도라는 것은 여성의 정절을 지키는 수절의 도구로 사용 됐기에, 그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서역 삼만 리, 파촉 삼만 리 : 구체적인 숫자를 통해 심리적이고 물리적인 거리를 가시화하고 있으며, 그 거리가 좁힐 수 없는 즉, 임의 죽음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거리임을 추론할 수 있다.

 

이러한 화자의 슬픔과 외로움은 '육날 메투리'라 하여, 자신의 머리로 엮은 신발을 통해 형상화 되고 있으며,

 

마지막 연의 귀촉도를 통해 감정 이입으로 한의 정서를 표현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주제를 도출하자면, '임의 죽음으로 인한 슬픔과 회한'정도라고 할 수 있다.

 

김소월, 접동새

 

접동

접동

아우래비 접동

 

진두강 가람 가에 살던 누나는

진두강 앞마을에

와서 웁니다

 

옛날, 우리나라

먼 뒤쪽의

진두강 가람 가에 살던 누나는

의붓어미 시샘에 죽었습니다

 

누나라고 불러 보랴

오오 불설워

시새움에 몸이 죽은 우리 누나는

죽어서 접동새가 되었습니다

 

아홉이나 남아 되던 오랩동생을

죽어서도 못 잊어 차마 못 잊어

야삼경 남 다 자는 바이 깊으면

이 산 저산 옮아가며 슬피 웁니다

 

 

사실상 김소월의 시가 접동새 설화에 더 충실했다고 할 수 있다.

 

읽으면 알 수 있겠지만, 해당 시의 내용이 바로 접동새 설화의 내용이기 때문이다.

 

접동새 설화

 

옛날 평북 진두강 가에 10남매가 살고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어느 날 어머니가 죽고 아버지가 계모를 들였다. 흉악하고 포악한 계모는 전처의 자식들을 심하게 학대하였다.

죽은 어머니가 남긴 물건을 모두 없애고 그 자식들에게는 끼니도 제대로 주지 않고 급기야는 외출도 금지시켰다.

소녀가 나이가 차서 박천의 어느 도령과 혼약을 맺고, 부잣집인 약혼자 집에서는 소녀에게 많은 예물을 주었는데,

이를 시기한 계모가 어느 날 그 예물을 빼앗고 소녀를 그 친어머니의 장롱 속에 가두어 불을 질러 태우자

그 재속에서 한 마리 접동새가 날아 올랐다.

누나의 죽음에 아홉 동생들이 슬퍼하면서 누나의 혼수를 마당에서 태우는데,

계모는 아까워하며 태우지 못하게 하였다.

한편 뒤늦게 이 사실을 안 관가에서는 계모를 잡아 그 딸이 죽은 것과 똑같은 방법으로 사형을 시켰는데, 계모의 재 속에서는 까마귀가 나왔다고 한다. 접동새가 된 처녀는 밤이면 동생들을 찾아와 울었는데,

접동새가 밤에만 다니는 까닭은 계모가 둔갑한 까마귀가 무서워서라고 한다.

 

 

 

 

 

+ Recent posts